지역경제 활성화·미래산업 육성 역점
  • ▲ 박상수 삼척시장이 27일 제259회 삼척시의회 제2차 정례회 시정연설을 통해 2026년도 시정 운영 방향과 본예산안을 발표했다. ⓒ삼척시
    ▲ 박상수 삼척시장이 27일 제259회 삼척시의회 제2차 정례회 시정연설을 통해 2026년도 시정 운영 방향과 본예산안을 발표했다. ⓒ삼척시
    강원 삼척시가 27일 제259회 삼척시의회 제2차 정례회 시정연설을 통해 2026년도 시정 운영 방향과 본예산안을 발표했다. 

    이날 박상수 시장은 민선 8기 4년의 성과를 토대로 지역의 구조적 전환과 시민 체감 성과 창출에 집중하며 '새로운 미래를 여는 시작점'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먼저 삼척시는 수소특화 일반산업단지와 임대형 공장 건립사업을 마무리하고 기업 입주를 가속화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 계획이다. 

    또 액화수소 신뢰성 평가센터 운영,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 및 산·학·연 기반의 수소경제 생태계 완성에 속도를 낸다. 아울러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진흥센터 건립과 이차전지 전기화재 복합시험 인증 플랫폼 구축으로 에너지·방재 기술 산업을 선도하고 관련 기업 유치에 나선다. 
  • ▲ 박상수 삼척시장이 27일 제259회 삼척시의회 제2차 정례회 시정연설을 통해 2026년도 시정 운영 방향과 본예산안을 발표했다. ⓒ삼척시
    ▲ 박상수 삼척시장이 27일 제259회 삼척시의회 제2차 정례회 시정연설을 통해 2026년도 시정 운영 방향과 본예산안을 발표했다. ⓒ삼척시
    시는 영월–삼척 고속도로가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와 50억 원 예산 반영에 따라 실시설계와 착공이 가능해진 만큼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  

    또 중입자 암치료센터 기반 의료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의료·교육·힐링·관광이 결합된 성장모델을 구축, 폐광지역(석탄산업전환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한다.

    이어 서울–지방 상생형 주택사업인 골드시티 추진, 교육발전특구·글로컬대학 육성, 공공기관 이전 기반 확충 등을 통해 인구 유입과 생활 여건 개선에 집중한다.

    아울러 삼척의료원 신축 이전에 따른 부지 활용, 정라유원지 대형호텔 유치 조기 착공, 임대형 스마트팜과 청년 농촌보금자리 조성 완료, 어촌 신활력증진사업과 해양생태계 복원으로 농·어촌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 계획이다. 

    박상수 삼척시장은 "민선 8기 성과로 마련한 변화의 발판을 구체적 결실로 이어가 시민과 함께 다시 뛰는 삼척을 완성하겠다"며 "재정 불확실성 속에서도 효율적인 예산 운영과 국·도비 확보로 지역 성장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이루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