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브리핑 통해 기본 구상 발표김명기 군수 "주민 수용성이 제일 중요"2026년 예산편성, 12.7% 늘어난 총 6778억 원 계획
-
- ▲ 김명기 횡성군수가 26일 횡성군청 대회의실에서 자체 자립형 모델인 ‘행복소득’에 대한 구상과 2026년 횡성군 예산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횡성군
강원도 횡성군(군수 김명기)이 2030년부터 전 군민에게 1인당 월 20만원의 기본소득을 보장하는 자립형 모델인 '행복소득'을 추진한다.김명기 횡성군수는 26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자브리핑을 통해 자체 자립형 모델인 '행복소득'에 대한 구상을 발표했다.김 군수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 군민과 내일에 대한 희망을 그리기 위한 시도로 지역의 다양한 자산을 활용해 창출한 이익을 주민에게 기본소득으로 환원하는 순환형 경제모델을 만들겠다"며 "2030년에는 군민 1인당 월 20만원의 기본소득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김명기 군수는 자립형 기본소득제를 추진하기 위해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중 300억원으로 씨드머니(Seed Money)를 활용해 특수목적법인(SPC) 또는 협동조합을 설립할 계획이다.이를 위해 심의기구인 '기본소득위원회'를 설치해 심의와 조정 기능을 강화하고 '행복소득 TF'를 구성해 사업을 탄력적으로 추진한다.횡성군은 이 자금을 바탕으로 군 유휴부지에 태양광 발전단지 조성과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 가축분뇨와 음식물 슬리지 등 폐자원을 활용한 통합바이오가스, 폐비닐을 자원화하는 공공열분해시설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아울러 신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의 정부 정책과도 연계해 정부의 공모사업에 적극 도전한다는 방침이다.다만 김군수는 "이러한 계획 기반에는 주민 수용성이 제일 중요하다"며 "군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이러한 구상이 차질없이 진행되면 연간 1000억 원의 수익을 창출해 월 기본소득을 충당한다는 계획이다.김 군수는 "행복소득은 경제 선순환 구조를 통해 자립형 경제 기반을 다지고 공동체는 복원해 영원히 지속가능한 도시 횡성으로 향해가는 역사적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김명기 횡성군수. ⓒ횡성군
이날 김 군수는 2026년 예산 편성 규모, 6대 핵심과제 등 군정 중점 추진 사항도 공유했다.2026년 횡성군 예산은 2025년 6014억원 대비 12.7% 늘어난 총 6778억 원이다.일반회계 예산은 11.1% 증가한 6045억 원, 특별회계 예산은 28.3% 증가한 733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군은 6대 핵심과제로 미래자동차 클러스터 완성, 지방소멸 대응 세대 맞춤형 지원, 사람 중심 포용 복지, 농·축산 생명산업 지원 확대, 365일 문화와 관광이 흐르는 도시 구현, 안전하고 편안한 '안전횡성' 조성 등을 추진키로 했다.김명기 횡성군수는 "군민 여러분이 맡겨주신 소중한 예산은 추진 과정을 면밀히 검토해 가장 필요한 곳에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을 약속드린다"며 "사업별 추진 시기에 맞춰 예산을 추가 편성해 누락되는 사업이 없도록 세심하게 살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