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동한 시장, 정부서울청사서 전국 지자체 대표로 성과 발표통합돌봄과 신설, 춘천愛온봄 브랜드 안착 등 모범사례 공유내년 시행 돌봄통합지원법 대비, 선도적 돌봄체계 구축
  • ▲ 육동한 춘천시장이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행정기관과 학계, 전문기관 등이 함께하는 보건복지부 통합돌봄정책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해 춘천시 통합돌봄 추진현황과 성과를 발표했다. ⓒ춘천시
    ▲ 육동한 춘천시장이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행정기관과 학계, 전문기관 등이 함께하는 보건복지부 통합돌봄정책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해 춘천시 통합돌봄 추진현황과 성과를 발표했다. ⓒ춘천시
    강원 춘천시의 통합돌봄 정책이 전국적인 대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행정기관과 학계, 전문기관 등이 함께하는 보건복지부 통합돌봄정책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해 춘천시 통합돌봄 추진현황과 성과를 발표했다. 

    육동한 시장은 시청 내 '통합돌봄과' 신설과 '춘천愛(애)온봄' 브랜드 정착 과정, 노인통합돌봄 성과, 민관 협력체계 구축 경험 등을 공유하며 제도의 필요성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춘천시는 건강하고 행복한 복지 공동체 조성을 목표로 통합돌봄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 2023년 7월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 초고령사회에 진입, 급격히 늘어난 돌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3월 전국 시행 예정인 '돌봄통합지원법'에 앞서 선제적으로 통합돌봄체계를 구축했다.

    올해 1월에는 도내 최초로 지역돌봄 통합지원을 전담하는 '통합돌봄과'를 신설했다. 

    통합돌봄과는 통합돌봄정책팀, 희망복지팀, 남부·북부·동부 통합돌봄팀 등 5개 팀으로 구성돼 초고령사회와 법 시행에 대비한 전담 조직으로 꾸려졌다. 

    또 지역내 25개 읍·면·동을 3개 권역으로 나눠 돌봄 신청 대상자를 직접 찾아가 방문 조사하고 개별 통합지원계획을 수립해 서비스를 연계하고 있다. 
  • ▲ 육동한 춘천시장이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행정기관과 학계, 전문기관 등이 함께하는 보건복지부 통합돌봄정책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해 춘천시 통합돌봄 추진현황과 성과를 발표한 가운데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춘천시
    ▲ 육동한 춘천시장이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행정기관과 학계, 전문기관 등이 함께하는 보건복지부 통합돌봄정책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해 춘천시 통합돌봄 추진현황과 성과를 발표한 가운데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춘천시
    춘천시는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춘천愛온봄' 브랜드를 통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안착시켰다. 

    특히 '춘천형 노인통합돌봄사업'은 성공사례로 부각되며 지역 내 80여 개 공공·민간기관과 협력해 1만여 명의 어르신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다.  

    시는 올해도 보건복지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에 참여하면서 내년 3월 전국 시행 예정인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선도적 돌봄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 

    육동한 시장은 "살던 곳에서 건강하고 존엄한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돌봄 공동체 기반을 다져왔다"며 "앞으로도 춘천형 통합돌봄 모델을 고도화해 전국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