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단체장이 부고장에 본인 계좌 올려"공직자로서 부적절한 처신" 비판 제기
  • ▲ 육동한 춘천시장. ⓒ연합뉴스
    ▲ 육동한 춘천시장. ⓒ연합뉴스
    육동한 춘천시장이 '장모상 부고장'에 본인 명의의 '은행 계좌번호'를 기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춘천시 측은 '지인 중 일부가 부의금 전달처를 알려달라고 해 배포했던 게 공유된 것'이라고 해명했으나, 현직 단체장이 부고장에 본인의 계좌번호를 적은 것은 부적절한 처사라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민주당이 유사한 일로 국민의힘 소속 지자체장을 비판했던 전례가 있어 '내로남불'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21일 '더팩트'가 입수한 육 시장 '장모상 부고장'에 따르면, 해당 부고장엔 육 시장 본인 명의 계좌번호가 명시돼 있어 조의금을 송금할 수 있도록 했다. 

    부고장 상단에는 "사랑하는 장모님 故 김OO 님께서 별세하셨기에 삼가 알려드립니다. 육동한 배상"이라는 안내 문구가 실렸고, 하단에는 '마음 보낼 곳'이라는 문패와 함께 육 시장 명의의 농협 계좌번호가 적혀 있었다.

    이 부고장은 육 시장 지인들이 참여하는 단톡방에도 공유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2023년 국민의힘 소속 이상호 태백시장이 불특정 다수에게 모바일 메신저로 모친상을 알리는 메시지를 보내면서 계좌번호를 적시해 논란을 빚은 적이 있다.

    당시 민주당 강원도당은 "계좌번호가 포함된 모친상 부고장 발송은 적절하지 않다"며 "현직 시장이 시민들에게 무작위로 부고장을 발송한 것 자체가 문제일 뿐 아니라, 개인정보 보호법과 공무원 행동강령 제17조(경조사의 통지 제한)에 위배된다"는 논평을 냈다.

    한편, 춘천시청 관계자는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시장 측에서 (계좌번호가 적힌) 부고장을 돌린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부의금과 조화는 정중히 사양'한다는 내용의 부고장을 기자나 지인에게 공식 배포했고, 이후 계좌번호를 요청하는 지인이 있어 이에 한해 전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뉴스1에는 "정식으로 배포된 부고장이 아닌 직접 가지 못하는 지인 중에서 부의금을 전달할 곳을 알려달라는 분들이 있었다"며 "이 과정에서 추가로 다른 곳으로 부고가 공유되면서 오해가 있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