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심층수 소금으로 절인 프리미엄 김치·향토 만둣국 큰 호응
  •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위원장 장문혁)가 지난 17일 13일간의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위원회는 '방문객 약 6만 명, 매출 약 30억 원'이라는 역대 최고 기록을 거뒀다고 밝혔다.

    지난해보다 방문객은 2만 명, 매출은 9억 원 이상 늘어난 수치다. 장문혁 김장축제 위원장은 "평창 고랭지 배추의 뛰어난 품질과 10년 넘게 이어온 양념 맛 개선 노력, 그리고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절인 프리미엄 김치가 큰 인기를 끌었다"고 말했다.

    장 위원장은 꾸준한 성장 비결로 "맛있는 김장, 몸만 와도 김장을 할 수 있는 편리함,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친절한 서비스"라고 밝혔다. 한 번 방문한 사람들은 다음 해 친구나 가족을 데리고 다시 올 만큼 만족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완성한 김치는 차량까지 직접 실어주는 세심한 서비스가 큰 호응을 얻었다.
  •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개막식 장면. ⓒ평창군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개막식 장면. ⓒ평창군
    김장축제의 성공은 진부면뿐 아니라 평창군 전역으로 김장 문화를 확산시키는 계기도 됐다. 인근 대화면은 지역 특산품인 대화 고추를 활용한 '명품 대화초 김장 잔치'를 올해 4회째 열었다. 클래식 음악 축제로 유명한 방림·계촌 지역도 올해 처음으로 '클래식 김장 축제'를 개최했다.

    평창군은 이런 흐름을 이어 11월 11일을 '김장의 날'로 선포하고, 김장축제 개막일인 11월 5일에 공식 선포식을 개최했다. 심재국 평창군수는 "김장 축제와 김치 산업을 결합해 지역 발전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농업·일자리·관광을 연결해 지역경제를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
    올해 김장축제는 고객 만족도도 높았다. 기존 비닐하우스 형태의 체험장을 대신해 1768㎡ 규모의 대형 막 구조 체험장을 새로 마련해 환경을 크게 개선했다. 여기에 평창송어종합공연체험장까지 함께 활용하면서 시간당 600명 이상이 동시에 김장을 체험할 수 있는 넉넉한 공간을 확보했다.

    체험장 내에서 제공한 만둣국도 큰 인기를 얻었다. 평창의 향토 음식인 '갓 만두'를 기본으로, 축제 김치와 돼지고기를 넣은 '김치 고기만두'를 대관령 한우 육수로 끓여 시원하게 낸 만둣국도 호응이 높았다.  
  •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
    김장축제에서 사용된 배추·무·대파 등 주요 재료는 평창 고랭지 농산물로 젓갈류와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모두 지역에서 재배했다. 배추와 무는 계약재배 방식으로 공급됐고 고춧가루는 실명제로 관리하고 지역 어르신들이 고추 꼭지를 하나하나 손질해 품질을 높였다. 양념은 진부 지역 전통 방식을 바탕으로 하면서 해마다 고객 의견을 반영해 점점 더 맛을 개선해 오고 있다.

    김장축제 운영에는 매일 150~250명의 지역 주민이 참여했다. 진부면 이장 협의회는 교통 관리와 김장 실어 나르기 등 현장을 맡았고, 새마을부녀회와 지도자협의회는 체험장 정리와 김장 초보들을 돕는 역할을 했다. 
  •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
    포장재 준비는 지역 리더들의 모임인 진부회가 맡았으며, 만두는 진부 여성회가 매일 4000개 이상 손으로 직접 빚어 지역 음식을 관광자원으로 키우는 데 힘을 보탰다.

    장문혁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위원장은 "올해 축제는 김장 문화를 산업으로 발전시키는 중요한 시작점였다"며 "앞으로도 김장 체험 프로그램을 더 발전시키고,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계속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
    ▲ 2025년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장면. ⓒ평창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