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도 당초예산 8조3731억 편성국비확보 노력 결과 국고보조금 4천억 증가4년 연속 본예산 지방채 발행 없어
  • ▲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강원특별자치도
    ▲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강원특별자치도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가 10일 오전 도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도 강원특별자치도 예산안으로 총 8조3731억 원을 편성해 오는 11일 도의회에 제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내년도 예산이 전년도 예산(7조8059억 원)보다 5672억 원(7.3%) 증가한 것은 지방세와 보통교부세의 증가뿐만 아니라 국비 확보 노력의 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예산은 ▲미래전략산업 육성 ▲민생경제 회복 ▲돌봄과 상생의 복지 실현 등 3대 분야에 집중 투입될 예정이다.

    먼저 강원특별자치도는 미래전략산업 육성을 위해 4558억 원을 투입한다.

    반도체 테스트베드 사업과 한국 반도체 교육원을 비롯해 전국 최초로 지정된 수소 특화단지 핵심사업인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 기반구축 공사비가 포함되며, 반도체·AI·바이오 등 핵심 분야 인재 양성 사업에도 1600억 원이 투입된다.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총 2조3944억 원을 투입한다. 

    중소기업·소상공인 융자자금 지원에는 287억 원을 배정하고, 1500억 원 규모로 조성되는 전략산업 벤처펀드에는 125억 원을 편성해 민관 투자 선순환 생태계를 본격화한다.

    농림어가의 실질소득과 생산 기반 강화를 위해 ▲'반값 농자재' 사업은 올해 대비 일부 증액돼 지속 추진되며 ▲농경지 배수시설 정비(120억 원 → 197억 원)와 ▲농기계 관련 예산(38억 원 → 78억 원)도 대폭 확대됐다. 

    또한 ▲산림목재 클러스터(4개소) 95억 원 ▲외국인 어업인 근로자 복지회관(3개소) 20억 원이 각각 반영됐다.

    청년 취·창업 및 주거비 부담완화 정책도 흔들림 없이 추진된다. 

    청년층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한 ▲정착 지원 사업(청년월세지원 등)에도 올해보다 30% 확대된 224억 원이 투자된다. 취·창업 활성화를 위한 ▲구직활동지원금(여성구직활동지원 포함) 24억 원 및 ▲창업자금 무이자대출 15억 원도 반영됐다.  

    SOC 관련 예산은 ▲도로 분야 1678억 원 ▲하천정비 558억 원 ▲도시재생사업 528억 원이며 ▲상·하수도 예산은 올해 대비 40% 이상 확대됐다. 또한 ▲신청사 건립 예산도 276억 원이 반영됐다.
       
    끝으로 ▲출산·육아 지원을 포함한 저출산 대응 및 취약계층 복지, 보훈, 공공의료 분야에 총 3조2661억 원을 반영했다.

    ▲아동수당은 대상 연령을 확대(만 7세 → 만 8세, 내년도 764억 원)하고 ▲춘천, 원주·충주권 권역응급의료센터 소아응급전문의 인건비 지원이 내년부터 영동권역(강릉 아산병원)까지 확대된다.

    ▲기준중위소득 인상 등으로 어르신 및 취약계층 자원 사업인 기초연금, 생계급여, 주거급여, 장애인연금 급여 등이 확대됐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2195명) 종합건강검진비 지원이 신규로 추진돼 처우개선이 강화된다. ▲연례 사업인 참전 및 보훈 명예수당은 86억 원을 투입, 예우에 소홀함이 없도록 했다. 

    ▲지방의료원 지원(시설·장비·운영)에 468억 원 ▲권역책임의료기관인 강원대학교병원 시설·장비 보강사업은 4배 증액(29억 원 → 120억 원)돼 지역 의료체계가 강화될 전망이다. 

    이 외에도 ▲소방 출동간식비 단가를 전국 최초로 6000원으로 인상(4000원 → 6000원, 50%↑)해 소방공무원의 처우개선이 이뤄진다.

    문화예술 분야는 ▲미술관·도서관·문예회관 등 인프라 확충에 120억 원 ▲예술인과 단체 지원에 86억 원을 투입한다. ▲관광 분야는 내년 '강원방문의 해' 사업에 올해 대비 2배로 예산을 확대하며, 체육분야는 신규로 사격팀을 창단해 전문체육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내년도 예산안을 내일 제출한다"며 "사상 처음으로 8조 원을 넘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는 지방세 증가뿐만 아니라 국고 보조금이 4000억 원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우리 직원들과 시군 공무원들이 열심히 국비확보에 노력한 결과"라고 자평했다.

    이어 "이번에도 4년 연속 지방채 발행없이 예산을 편성해 자부심을 느낀다"며 "산업, 민생, 복지 3대 중점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