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 해결에 집중" 불출마 입장 밝혀"도내 현안, '대선 공약' 반영 위해 총력"도 행정부지사 중심, '대선공약추진단' 출범
-
- ▲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강원특별자치도
김 지사는 14일 강원도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도정을 챙기는 것만으로도 바쁘다"며 "저는 강원도를 지키겠다. 우리 당 대선 주자들이 잘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광역단체장들이 출마하면 해당 지역에서 응원하고 지지해 줄 것이라고 생각하겠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며 "잘 생각해 봐야 할 부분"이라고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던졌다.
그러면서 "저는 도내 주요 현안들이 국민의힘을 비롯한 각 당의 대선 공약에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우선 1차 자료(공약과제)를 각 정당에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강원도가 각 정당에 제공한 1차 공약과제에는 강원특별법, 7대 미래산업, SOC 확충 등 7대 분야 23개 과제가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선거 일정이 촉박한 점을 감안해, 1차 공약과제로 기존 핵심 현안을 각 정당에 우선 전달한 강원도는 향후 도지사 주재 회의를 거쳐 신규 과제를 발굴한 뒤 이를 2차로 제안해 전체 공약과제의 채택률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대선이 50여 일 앞으로 다가온 만큼 강원도는 '강원 대선 공약 추진단(이하 '추진단')'을 출범시켜 정책 현안 발굴에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여중협 도 행정부지사가 단장을 맡고, 이희열 도 기획조정실장이 총괄상황실장을 맡은 추진단은 18개 시군과 강원연구원, 외부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도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핵심 공약과제를 도출할 계획. 특히 강원 지역 주요 현안 및 핵심 사업이 대선 공약은 물론 국정과제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총력 대응에 나선다는 각오다.
추진단은 이달 중으로 행정부지사 주재로 추진단 회의를 열어 각 실국의 공약과제 내용과 우선 순위를 점검하고, 이후에는 도지사 주재 최종회의를 통해 공약과제를 신속히 확정한 뒤 각 정당에 공식 제안할 방침이다.
추진단은 지역 숙원사업 해결 가능성, 국정과제와의 연계성,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해 강원도가 그동안 중점적으로 추진해 온 핵심 현안들을 공약과제에 녹여낼 예정이다.
특히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 중 중앙부처와의 협의가 어려운 특례와, 법안에 반영되지 못한 주요 특례사항을 공약에 반영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또한 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수소 등 강원도의 7대 미래산업을 대선 공약에 포함시켜 강원의 산업지도 재편에 속도를 내고, 열악한 교통 인프라 확충 역시 공약화해 '동서남북 사통팔달 강원시대' 실현에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요청할 방침이다.
김 지사는 "대선 시계가 빠르게 돌아감에 따라 TF 조직을 만들어 오늘부터 두 달 간 운영할 계획"이라며 "답보상태에 있는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은 물론 개정안에 반영되지 못한 특례, 7대 미래산업과 SOC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