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연속 매출 1조 원 돌파, 첨단지식산업도시 도약 본격화AI·양자 융합 기반 시민체감형 바이오헬스 혁신 추진
-
- ▲ 춘천시가 28일 다목적회의실에서 '춘천시 바이오산업위원회'를 개최하고 지역 바이오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과 주요 정책과제 등 춘천 바이오 대전환 전략안을 의결했다. ⓒ춘천시
강원 춘천시(시장 육동한)가 바이오 대전환을 위해 산업, 기술, 교육, 생태계 측면에서 핵심과제를 마련했다.시는 28일 다목적회의실에서 '춘천시 바이오산업위원회'를 개최하고 지역 바이오산업의 중장기 발전전략과 주요 정책과제 등 춘천 바이오 대전환 전략안을 의결했다. 이날 회의에는 육동한 춘천시장과 산·학·연·관 전문가 등 8명이 참석했다.춘천은 4년 연속 매출 1조 원을 돌파하고 지난 30여 년간 축적된 지역 바이오산업 역량을 기반으로 국내 대표 바이오 도시로 자리매김해왔다.이와 함께 지난해부터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글로벌 혁신특구, 기업혁신파크 등 정부 공모사업에 잇따라 선정되며 혁신 기반을 완성 단계로 끌어올렸다. 현재는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추진하고 있어 시는 이를 통해 '춘천 다이아몬드 혁신전략'의 퍼즐을 완성한다는 구상이다.여기에 바이오산업의 패러다임이 AI와 디지털 융합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춘천시도 새로운 변화에 대응할 전략이 필요한 시점에 놓였다. 이에 따라 시는 산업·기술·교육·생태계 전 영역의 혁신을 추진하기로 했다.먼저 산업 부문에서는 AI와 양자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바이오헬스 도시 조성을 목표로 한다. 치료 중심에서 예방과 관리, 개선까지 아우르는 통합형 헬스케어 산업, 이른바 '헬스루션(Healthlution·건강관리 해법)'을 육성해 세대가 함께 건강을 관리하는 생활밀착형 산업 모델을 만든다.기술 분야에서는 제조 혁신과 데이터 실증체계를 구축하고, 교육 분야는 산업 현장과 미래를 잇는 인재양성을 핵심 목표로 바이오 혁신을 선도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3-Tier 인재양성 모델을 추진한다.생태계 분야에서는 혁신 거버넌스인 바이오 소사이어티를 만들고 K-바이오헬스 슈퍼클러스터와 연계해 국제 공동연구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대한다.춘천시는 내달 열리는 '강원바이오엑스포'에서 구체적인 전략을 시민들에게 공개한다.육동한 시장은 "AI와 양자 기술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산업 대전환은 춘천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며 "산업·기술·교육·생태계 전 영역에서 혁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민·관·학이 함께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